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외교 정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외교 정책은 국가가 다른 국가들과 관계를 맺고 관리하기 위한 전략과 활동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외교 정책은 건국 초기 안보를 최우선으로 했으며,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거치면서 인권, 환경 등 보편적 가치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외교 정책은 안보, 경제적 이익, 인도주의적 지원, 환경 보호, 인권 증진 등 다양한 목표를 가지며, 외교부 등 관련 부처와 국회, 시민 사회, 싱크탱크 등의 참여를 통해 결정된다.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는 합리적 행위자 모델, 조직 과정 모델, 정부 내 정치 모델 등이 있으며, 억지, 봉쇄, 선린, 관여, 강제 외교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교 정책 - 동북아 균형자론
    동북아 균형자론은 대한민국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이론으로, 정부는 논란을 잠재우려 했으나 한미동맹 와해 우려와 개념 모호성으로 비판도 존재한다.
  • 외교 정책 - 시나트라 독트린
    시나트라 독트린은 소련이 동유럽 위성 국가들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고 각국이 독자적인 노선을 선택하도록 용인한 정책으로,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종식을 의미하며 동유럽 사회주의 정권 몰락과 냉전 종식에 영향을 주었고 최근 미중 패권 경쟁 속 유럽연합의 독자 외교 노선과 함께 재조명된다.
  • 정치와 정부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정치와 정부 - 전체주의
  • 정치에 관한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정치에 관한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외교 정책
정치
분야정치학, 국제 관계
하위 분야비교 정치
정치 경제학
정치사
정치 철학
정치 사회학
정치 심리학
정책학
관련 주제관료제
기술 관료제
애드호크라시
주요 기능
목표공익 추구
관련 정책공공정책
주요 정책대외정책
관련 단체시민사회
정부 기관
기능별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정치 시스템
핵심 개념주권
구성 요소정부
정치 단위정당
구조정치 조직
과정선거
선거 시스템선거 제도
투표투표
이념이데올로기
기타
영향국가의 다른 나라에 대한 접근 방식
관련 용어국제 관계
정의정부가 다른 국가와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전략
관련 정보국제안보
국제정책
외교

2. 역사

외교 정책의 개념은 국가 간 장기적인 관계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외교 사절단의 발전과 함께 생겨났다.[20]

18세기 유럽 외교는 극심한 격변과 지속적인 갈등으로 인해 외교 관행이 고립된 문제, 즉 "사건"들을 처리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종종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문제들의 국내 관리를 내정(농민 반란, 국고 부족, 궁정 음모)이라고 칭한 반면, 주권 영역 밖의 일시적인 문제 관리에는 외교라는 용어가 적용되었다. 이 용어는 20세기까지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외교 관계를 관리하는 부처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원래 특정 문제의 단기 관리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이러한 부처는 현재 국가 간의 모든 일상적이고 장기적인 국제 관계를 관리한다.

싱크탱크는 때때로 정부 외교 관계 기구가 외교 정책 제안, 기존 정책의 대안을 개발하거나 진화하는 관계에 대한 분석적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 및 옹호를 제공하기 위해 고용된다.

3. 외교 정책의 목표

외교 정책은 국가가 생존, 평화, 번영, 독립을 추구하기 위해 국내외 다양한 정세에 대응하는 국가전략의 대외적 구현이다. 각 국가는 자국 상황에 맞는 국가전략을 추구하며, 외교 전략을 수립하고 외교 정책을 통해 이를 실행한다.[3]

외교 정책은 국가 안보, 경제적 이익, 인도주의적 가치 실현 등 상호 연결된 다양한 목표를 추구하며, 방위 및 안보, 경제적 이익, 필요한 국가에 대한 지원 제공 등을 위해 추진된다. 국내 정책과 달리 외교 정책은 외국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갑자기 발생하기도 한다.

외교 정책은 안보 및 국제경제 환경을 개선하고, 긴급 상황에서 위기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G20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3. 1. 안보

국가 안보는 외교 정책의 근본적인 목표이다. 이는 경성 권력과 연성 권력의 적절하고 혼합된 방식으로 이뤄진다.[25][26] 국가는 군사동맹을 체결하여 잠재적 위협에 대응하며, 외교 정책은 소프트 파워, 특정 위협국에 대한 국제적 고립정책, 그리고 마지막 수단으로 전쟁을 활용하기도 한다.

대외 정책은 종종 국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4] 정부는 공격을 억제하고 더 강력한 저항을 보이기 위해 외국과 군사 동맹을 맺는다.[5] 또한 소프트 파워, 국제적 고립, 또는 전쟁을 통해 적대 국가와 싸우는 데 초점을 맞춘다.

21세기에 들어와 방어적 대외 정책은 세계적인 테러리즘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확대되었다.[6][7][8]

3. 2. 경제

외교 정책에서 한 국가의 경제는 매우 중요한 핵심 사안 중 하나이다. 경제는 세계 경제국제무역에서 국가 역할의 중추적인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경제 외교 정책은 자유 무역 협정(FTA)의 체결 및 관리와 대외원조 프로그램 지원 및 운영, 그리고 수출입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담당한다.[1] 경제적 대외 정책 문제에는 통상 협정의 체결, 해외 원조의 분배, 그리고 수입수출의 관리가 포함될 수 있다.[1]

3. 3. 인도주의

국가는 인도주의적 개입에 기반하여 외교 정책을 운영하며, 인도주의적 지원을 다양한 방면에서 실현한다. 이는 한 국가의 외교 부처가 타국 및 국제기구에 무상 및 유상 지원금 및 기여를 제공하거나, 공공 기관 등이 지원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27][28] 또한 유엔 평화 유지 활동 및 동맹국, 그리고 여러 국가가 연합하여 실행하는 평화 유지 활동에 자국의 병력을 보내는 것 또한 외교 정책의 목표에 포함될 수 있다.

많은 국가가 책임보호 개념 아래 인도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자유주의 국제주의 지지자들은 더 강하고 부유한 국가들이 덜 강력한 국가를 돕고 지원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생각은 종종 국제 관계의 이상주의 사상과 관련이 있다. 자유주의 국제주의 지지자들의 지원은 방어적 또는 경제적 지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9]

3. 4. 환경

기후변화, 탄소 중립, 해수면 상승 등 환경 파괴로 인한 예상치 못한 재난 및 재해 발생과 그에 따른 부수적 피해가 증가하면서, 환경 의제가 외교 정책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29][30] 주로 선진국들이 환경 관련 외교 정책을 통해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과 협약을 체결하고 그 이행을 이끌어내고 있다.

3. 5. 인권

코소보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르완다 내전 등 인종차별, 종교 갈등 및 민족 간 충돌로 인하여 인권의 가치가 훼손되고 탄압받음에 따라서 국가의 외교 정책에 있어서 인권이라는 주제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31][32] 국가는 인권을 외교 정책의 한 분야로서, 인권을 증진하고 인권 보편화에 기여하는 형식으로 인권을 외교 정책의 목표 중 하나로 지속하고 있다.

4. 외교 정책 결정 과정

전통적으로 국가들은 타 국가들과의 관계를 장기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외교를 담당하는 전문 부처를 정부 내에 두고 있다. 이는 동서양 모두 마찬가지이며, 주로 국가 외부의 문제와 주제를 다루는 역할을 담당한다. 현대 외교 정책은 단순히 국가 간 문제뿐만 아니라, 미시적 및 거시적 외교 문제 모두를 다루는 정책으로 발전하였다.[20] 각 국가는 외교부, 외교통상부, 외무부, 외무성, 외무청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외교 담당 부처를 두고 외교 정책을 수립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맡긴다.[21][22][23] 싱크탱크연구 기관은 주로 외교 담당 부처에 의해 고용되어, 현재 외교 정책에 대한 평가와 제언, 대안 제시, 기존 정책 개선 사항 등을 발표한다.[24]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는 여러 가지 모델이 제시되어 있다. 그중 정치학자 그레이엄 앨리슨이 "국민은 어떻게 정부의 행동을 이해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쿠바 미사일 위기 사례를 이용해 모델링한 세 가지 외교 정책 결정 과정 모델이 유명하다.

4. 1. 합리적 행위자 모델

합리적 행위자 모델(合理的行為者モデル)은 문제 인식 및 문제 평가의 객관성, 국가적 이익의 선정 및 우선순위에 대한 국내적 합의, 국가 이익(국익) 달성을 위한 모든 수단 제시,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한 편익 극대화 수단 선택 등을 전제로 하여 대외 정책이 합리적으로 수행된다는 모델이다. 합리 모델(合理モデル)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객관성 및 국내적 요인 측면에서 상기 전제와 정책 결정 현장의 상황은 다르며, 합리적 행위자 모델에서 중요한 국가 이익이라는 개념 또한 객관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4. 2. 조직 과정 모델

조직과정모델은 정부가 상하로 연결된 여러 조직의 느슨한 연합적 조직 집단이며, 각 하부 조직이 기존 절차에 따라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이 정부의 정책을 결정한다는 모델이다.[1]

그 특징은 두 가지로 생각된다.[1]

1. 하부 조직은 과제 설정, 선택지 선정, 결과 예측, 결과 평가, 정책 선택이라는 흐름에 따라 결정한다.

2. 하부 조직은 외부 자극에 대해 수동적이고 반응적으로 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조직과정모델에 따르면 정책 결정의 형태에는 세 가지가 있다.[1]

1. 조직이 과거의 결정을 반복하는 형태

2. 조직이 모순되는 두 가지 이상의 결정을 하는 형태

3. 조직이 중복되는 두 가지 이상의 결정을 하는 형태

4. 3. 정부 내 정치 모델

정부 내 정치 모델은 조직을 인간 집단으로 보고, 정책 결정은 조직 내 구성원들이 각자의 임무와 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의 정치적 자원(권한, 지식, 카리스마)을 활용하여 벌이는 정치적 흥정의 결과라는 모델이다. 조직 구성원의 행동 특징으로는 자신의 지위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자기 이익 추구, 자신의 이익을 실현할 기회를 끊임없이 모색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1]

하지만 앨리슨 모델(Allison Model)은 위기 상황을 사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 내부로 한정된 모델이다. 실제 외교 정책 과정에는 정부 외부 요소(국내외)도 크게 관여하기 때문에, 각 요소에 주목한 분석틀이 고려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호 침투 모델'''(Intermestic Model), '''이중 게임'''(Two-Level Game), '''전략적 상호 의존'''(Strategic Interdependence) 등이 있으며, 문제에 따라 분석틀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1]

5. 외교 정책의 유형

외교 정책은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억지 정책, 봉쇄 정책, 선린 정책, 관여 정책, 강제 외교 등이 있다.

5. 1. 억지 정책

억지(deterrence) 정책이란, 안보(安全保障)에서 우수한 군사력을 유지함으로써, 전쟁을 일으켜 얻을 수 있는 전과(戦果)가 코스트리스크를 웃돌지 않는다고 상대에게 판단하게 만들어, 그에 따라 전쟁을 회피하는 외교 정책이다.

그러나 이러한 억지를 보다 확실하게 성공시키려면 외교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상대에게 공격의 비용과 위험을 인식시키려면, 상대에게 자신이 자국의 국가 이익을 단호하게 방어할 의지가 있음을 확실히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 「국가 이익을 방어할 진정한 의지」와 「실제로 국가 이익을 방어할 능력」 두 가지를 갖추지 못하면, 상기 의지의 전달은 유효성을 갖지 못한다.

5. 2. 봉쇄 정책

봉쇄 정책은 적대적인 국가가 세력권을 확장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증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치적, 군사적, 외교적,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외교 정책이다.[4] 1947년 X논문을 통해 그 개념이 널리 알려졌으며, 미국은 소련에 대한 외교 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봉쇄 정책을 채택했다.

대한민국은 국제 사회와 함께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을 저지하기 위한 제재에 동참하고 있다.

5. 3. 선린 정책

선린 정책은 이웃 국가들과의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외교 정책이다.

5. 4. 관여 정책

관여 정책(engagement)이란, 그다지 적대적이지 않은 국가에 대해 우리의 사상과 정책을 이해시키고 단계적으로 동조하게 만드는 외교 정책이다. 포섭 정책이라고도 한다. 냉전 이후의 새로운 개념이며, 상대국을 군사력으로 위압하는 등의 수단이 아니라, 소프트 파워를 이용하여 온화하게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장점을 전달함으로써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특징이 있다.[17]

5. 5. 강제 외교

강제 외교는 제한적인 군사력이나 위협을 통해 상대국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외교 정책이다. 포함외교나 곤봉외교라고도 한다. 이는 군사력을 사용하여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군사력을 이용함으로써 각종 외교 협상을 유리하게 진행하는 외교 정책이다.

예를 들어 포클랜드 전쟁에서 영국은 군사력 행사를 확대하기 전에 아르헨티나에 적대 행위를 철회할 기회를 주는 외교 정책을 전개했다.

6. 외교 정책 연구

외교 정책 연구는 국가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유지하는지, 그리고 그 이유를 고찰한다. 여기에는 여러 학파가 존재하는데, 합리적 선택 이론에 기반한 합리적 행위자 모델, 대외정책 기구를 여러 경쟁적 이해관계로 보는 정부 교섭 모델, 그리고 대외정책 기구를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호 연관된 관료제로 보는 조직 과정 모델 등이 포함된다.[16]

대외정책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싱크탱크들이 있는데, 미국에는 미국 외교 관계 협의회(Council on Foreign Relations), 영국에는 채텀하우스(Chatham House)가 있다. 싱크탱크는 때때로 정부 외교 관계 기구가 외교 정책 제안, 기존 정책의 대안을 개발하거나 진화하는 관계에 대한 분석적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 및 옹호를 제공하기 위해 고용된다.

참조

[1]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논문 Policy Perspectives on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https://onlinelibrar[...] 2013-04-05
[3] 논문 The Dynamics of Foreign Policy Agenda Setting
[4] 논문 Policy Perspectives on National Security and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https://onlinelibrar[...] 2013-04-05
[5] 논문 Do Alliances Deter Aggression? The Influence of Military Alliances on the Initiation of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2003-07-01
[6] 서적 Terrorism and Foreign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7] 논문 Democracy, Foreign Policy, and Terrorism
[8] 서적 Terrorists, Victims and Society: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errorism and its Consequences John Wiley & Sons
[9] 논문 Moral Internationalism and the Responsibility to Protect
[10]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Public Opinion, Domestic Structure, and Foreign Policy in Liberal Democracies
[12] 논문 Democracy and armed conflict
[13] 서적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Authoritarian Regimes: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German Institute for Global and Area Studies
[1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Foreign Policy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5] 논문 'Yes Men' and the Likelihood of Foreign Policy Mistakes Across Dictatorships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16] 논문 Conceptual Models and the Cuban Missile Crisis 1969-09
[17] 웹사이트 エンゲージメント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VOYAGE GROUP 2007
[18] 논문 김계동 외, 「세계외교정책론」(서울 : 을유문화사, 1995) https://www.dbpia.co[...]
[19] 논문 외교정책분석론의 국내 연구 성과와 동향 https://www.dbpia.co[...]
[20] 논문 외교정책 연구에 있어서의 정책과학 접근법 https://www.dbpia.co[...]
[21] 웹인용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Trade and Development Act https://laws-lois.ju[...] 2013-12-12
[22] 웹인용 Who we are https://www.mfat.gov[...]
[23] 웹인용 모파랑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4] 논문 싱크탱크의 발전과 정책연구 : 미국의 주요 싱크탱크 사례연구 https://www.dbpia.co[...]
[25] 논문 소프트파워 관점에서의 문화정치와 국가역할: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사례분석 https://www.dbpia.co[...]
[26] 논문 대한민국의 중견국 공공외교 https://www.dbpia.co[...]
[27] 웹인용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24 https://www.oecd.org[...] 2024-07-11
[28] 웹인용 내년도 외교부 예산 3조 3,580억 원…글로벌중추국·인태전략 지원 https://news.kbs.co.[...]
[29] 논문 한국 환경외교의 성과와 과제 https://www.dbpia.co[...]
[30] 논문 국제환경 논의의 새로운 동향과 한국 환경외교에의 시사점 https://www.dbpia.co[...]
[31] 논문 미국의 인권외교정책 :코소보와 동티모르의 사례 비교 https://www.dbpia.co[...]
[32] 논문 대한민국의 국제인권 외교 발자취 : 유엔 인권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